본문 바로가기
도시 소음 연구소

주거 층 높이에 따른 소음 수준 비교

by 새로운 시작2025 2025. 8. 20.

아파트를 선택할 때 흔히 듣는 말이 있습니다.
“고층은 조용하다.”
많은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고층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소음 차이입니다.

그러나 실제로 저층과 고층에서 얼마나 소음이 줄어드는지, 단순히 수치 차이만 있는지, 수면 질까지 바뀌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데이터가 부족합니다.

이번 실험에서는 같은 단지 내 아파트의 **저층(3층)과 고층(18층)**에서 일주일간 소음을 측정하고, 동시에 수면 데이터를 기록했습니다.
그 결과는 예상보다 훨씬 구체적이고, 생활의 질에 큰 차이를 만들어냈습니다.

주거층 높이에 따른 소음 수준 비교 분석 정리

주거층 높이 측정 환경

 - 위치: 서울 ○○구 대로변 아파트 (왕복 6차선 도로 접함, 인근에 편의점·식당·버스 정류장 존재)

 - 기간: 2025년 7월 20일 ~ 7월 26일 (7일간, 평일·주말 포함)

 - 측정 층수: 저층 3층(도로와 9m 거리), 고층 18층(도로와 약 54m 거리)

 - 측정 기기:

    - Class 1 소음계 (1초 단위 기록)

    - 스마트워치(수면 효율·REM·깊은 수면·HRV 기록)

 - 조건:

    - 창문 닫음 + 환기창 5cm 개방  

    - 일반 암막 커튼, 방음커튼 없음

    - 야간(22:00~06:00) 중심 기록

 

주거 저층 데이터 (3층)

소음 수치 (평균·피크)

 - 평균 소음(LAeq): 55dB

 - 최대 소음(Lmax): 82dB (심야 오토바이)

 - 배경 소음(L90): 47dB

 

주파수 분석

 - 저주파(63~125Hz): 53dB (버스 엔진·화물차 진동음)

 - 중주파(500Hz~1kHz): 56dB (사람 목소리, 버스 브레이크음)

 - 고주파(2~5kHz): 피크 80dB (경적, 배달 오토바이 배기음, 새벽 대화)

 

시간대별 특징

 - 22:00~01:00: 배달 오토바이 집중, 3~5분 간격 1대 꼴

 - 01:00~03:00: 빈도 줄지만 편의점·패스트푸드 배달 여전

 - 03:00~06:00: 쓰레기 수거차·청소차 등장, 진동과 함께 큰 소리 발생

 

수면 데이터 (3일 평균)

지표 평균 특징
수면 효율 (%) 83 자주 깨서 연속성 떨어짐
깊은 수면 (%) 14 첫 주기 중 2회 이상 방해
REM (%) 19 꿈 끊김 빈번
각성 횟수(회) 4.0 피크 소음과 일치
HRV (ms) 38 회복력 저하
RHR (bpm) 60 교감신경 과항진 패턴

체감 사례

 - 7/21 23:30 → 오토바이 급가속(79dB) → 즉시 각성

 - 7/23 01:45 → 버스 정차, 방 전체가 진동, 깊은 수면 끊김

 - 7/25 새벽 04:20 → 보행자 대화 소리 그대로 들림 → 재입면 15분 소요

 

주거 고층 데이터 (18층)

소음 수치 (평균·피크)

 - 평균 소음(LAeq): 47dB (-8dB 감소)

 - 최대 소음(Lmax): 68dB (-14dB 감소)

 - 배경 소음(L90): 40dB

 

주파수 분석

 - 저주파(63~125Hz): 45dB (-8dB)

 - 중주파(500Hz~1kHz): 48dB (-8dB)

 - 고주파(2~5kHz): 피크 65dB (-15dB)

 

시간대별 특징

 - 22:00~01:00: 오토바이 소리 여전히 들리지만, ‘멀리서 나는 느낌’

 - 01:00~03:00: 대부분 희미해져 각성 유발 적음

 - 03:00~06:00: 바람소리·멀리서 나는 교통 소음 정도

 

수면 데이터 (3일 평균)

지표 평균 특징
수면 효율 (%) 90 연속성 안정
깊은 수면 (%) 19 첫 주기 방해 거의 없음
REM (%) 23 꿈 유지율 높음
각성 횟수(회) 1.5 대부분 자연 각성
HRV (ms) 45 회복력 향상
RHR (bpm) 56 안정 패턴

체감 사례

 - 7/22 00:40 → 오토바이 통과, ‘멀리서 웅웅거리는 정도’ → 각성 없음

 - 7/24 02:20 → 트럭 브레이크음 희미, 꿈의 흐름 유지

 - 7/26 아침 → 깊은 수면 체감, 기상 직후 집중 가능

 

거주 주민 체감 비교 (인터뷰)

 - 3층 거주자(본인): “자정 이후 오토바이 소리에 꼭 한 번은 깨요. 잠자리에 누워도 심장이 쿵 내려앉는 느낌.”

 - 18층 거주자(지인): “오토바이 소리는 들리지만, 마치 멀리 운동장에서 나는 소리 같아요. 꿈 깨는 일은 거의 없어요.”

 - 5층 거주자(이웃): “경적이 너무 커서 새벽에 아기가 울어요.”

 - 20층 거주자(이웃): “소음보다 바람 소리가 더 크게 들려요.”

 

분석 결과

1) 데시벨 차이

 - 평균 소음: 저층 55dB → 고층 47dB (-8dB)

 - 최대 소음: 저층 82dB → 고층 68dB (-14dB)

 

2) 소음 유형별 감소 폭

 - 저주파(엔진·트럭): -8dB

 - 중주파(대화·브레이크): -8dB

 - 고주파(경적·배기음): -15dB (가장 큰 차이)

 

3) 수면 질 변화

 - 깊은 수면: 저층 14% → 고층 19% (+5%p)

 - 각성 횟수: 저층 4회 → 고층 1.5회 (60% 이상 감소)

 - HRV 38ms → 45ms, RHR 60bpm → 56bpm → 자율신경 안정

 

4) 물리적 원인

 - 고층은 대기 흡수·반사 효과로 소리 에너지가 약해짐

 - 특히 고주파는 공기 중 감쇠가 빨라서 고층에서 크게 줄어듦

 - 저주파는 멀리까지 퍼지지만, 건물 구조와 거리 효과로 약화

 

주거 층수에 따른 장기적 건강 영향

 - 저층: 불규칙적 피크 소음 → 심혈관 질환·불면·불안 위험 높음

 - 고층: 소음 스트레스 낮아 심리적 안정감 확보, 숙면 지속 → 낮 집중력 개선

 

WHO 보고서: 야간 55dB 이상 노출 시 고혈압·심장질환 위험 증가 → 저층은 지속적 위험 구간, 고층은 안전 구간에 가까움

 

생활 팁 (층수와 무관하게 적용 가능)

 - 침대 위치 조정: 창문에서 머리를 멀리 두면 체감 소음 3~6dB 추가 감소

 - 방음커튼 활용: 고주파 소음 차단 효과 커서 저층에서 특히 유용

 - 가구 배치: 책장·옷장 등을 외벽 쪽에 두어 차음 보조

 - 화이트노이즈 기기: 일정한 소리로 불규칙적 피크를 희석

 

결론

층수 차이는 단순한 조망·가격 문제가 아니라, 실질적인 수면 환경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였습니다.

 - 평균 소음 -8dB

 - 최대 소음 -14dB

 - 깊은 수면 +5%p

 - 각성 횟수 60% 이상 감소

특히, 고층은 저층에 비해 고주파 소음 감소 효과가 커서 수면 질에 직접적 차이를 만들었습니다.

 

따라서 아파트 선택 시 단순히 “뷰”나 “층간소음”뿐 아니라, 외부 소음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.